NodeJS를 사용하면서 process.env를 활용하는 코드를 본적이 있는데요.
예를 들면, 개발자 모드로 구동할지, 프로덕트 모드로 구동할지 등의 값입니다.
그런데, 이 process.env는 어디서 온 것이고,
어떻게 활용해야 할까요?
오늘은 이 process env에 대해서 정리해 보겠습니다.
1. env
process는 리눅스에서 실행중인 프로그램을 의미하는 process일테구요.
env는 environment의 줄임말로, 환경변수를 의미하는데요.
아래 커맨드를 linux에서 실행해 보면 아래 이미지와 같이 환경변수 값들이 나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.
env
형식은 이미지에서 볼 수 있듯이,
name=value 형태로 되어 있습니다.
1. env 생성
생성시에도 마찬가지로,
env=value형태를 따르는데요.
추가할 때는 아래와 같은 형식으로 매우 간단합니다.
export <name>=<value>
예>
export SERVER_MODE='service'
삭제할 때는 아래와 같이 -u를 붙여주면 된다.
unset <name>
그런데, 위의 방법은 해당 터미널에서만 저장되는 방법이구요.
지속적으로 값이 적용되게 하기 위해선,
파일에 값으로 넣어줘야 합니다.
환경변수 값들은 유저별로 저장할 수 있는 환경변수와 글로벌 환경변수로 나누어지는데요.
다음과 같이 저장되는 파일과 위치가 다릅니다.
- 유저별 환경변수 : ~/.bash_profile
- 글로벌 환경변수: /etc/profile
'NodeJ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NodeJS에서 Header 값 받아오기 (1) | 2019.03.31 |
---|---|
NodeJS ErrorCode 정리 (0) | 2019.03.31 |
NodeJS에서 사용하는 Logging모듈 Winston (0) | 2018.04.03 |
NodeJS 에서 Crash 후 재시작에 필요한 PM2 (0) | 2017.10.23 |
NodeJS에서 node-schedule이용한 스케쥴러 작업 (0) | 2017.10.11 |